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4

[경제용어] 금본위제 금본위제(Gold Standard)에 대한 심층 해설1. 금본위제의 개념**금본위제(金本位制, Gold Standard)**란, 한 나라의 통화가 일정한 양의 **금(gold)**에 의해 가치가 고정되는 통화제도를 의미한다.즉, 정부가 화폐 발행 시 그에 상응하는 금을 보유하여 화폐 가치를 보장하는 체제이다.공식적으로 표현하면,화폐의 가치는 일정한 금의 무게에 연동되어 있으며, 그 금으로 언제든 교환 가능하다.예를 들어,영국에서 1파운드(£) = 113.0016그레인(grain, 약 7.322g)의 금으로 정해졌다면,정부는 국민이 원할 경우 언제든 화폐를 해당 무게의 금으로 교환해주어야 했다.이 제도하에서는 금이 **화폐 가치의 기준(unit of account)**이자 **교환수단(medium of e.. 2025. 10. 3.
[경제용어] 장단기금리차 장단기금리차에 대한 심층 해설1. 장단기금리차의 개념**장단기금리차(Term Spread)**란 말 그대로 **장기금리(Long-term Interest Rate)**와 **단기금리(Short-term Interest Rate)**의 차이를 의미한다.일반적으로는 10년 만기 국채금리 – 2년 만기 국채금리의 차이를 기준으로 산출한다.즉,장단기금리차 = 장기금리 – 단기금리이 차이가 양(+)의 값이면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높다는 뜻이고,음(-)의 값이면 오히려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 높다는 의미이다.이 지표는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경제주체들의 미래 경기전망, 통화정책 방향, 물가 기대, 투자심리 등이 모두 금리에 반영되기 때문이다.따라서 장단기금리차는 **‘경제의 체온계’이자 ‘경기예측 지표.. 2025. 10. 3.
[경제용어] 실질금리 실질금리에 대한 심층 해설1. 실질금리의 개념**실질금리(Real Interest Rate)**란,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율)을 차감한 금리를 의미한다.즉, 화폐의 ‘표면적 이자율’이 아니라, 실제 구매력 기준으로 본 이자율이다.공식은 다음과 같다.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이 식은 경제학자 **어빙 피셔(Irving Fisher)**의 ‘피셔 방정식(Fisher Equation)’으로 알려져 있다.이 공식은 금리의 본질을 단순하지만 명확하게 설명한다.즉, 단순히 돈을 빌려주거나 예금했을 때 받는 명목상의 이자율이 아니라, 물가가 오르내림에 따라 실제로 내가 얻는 실질적인 이익이 얼마인가를 보여주는 것이다.예를 들어,명목금리가 5%이고, 물가상승률이 2%라면 실질금리는 3%이다.반대로,.. 2025. 10. 3.
[경제용어] 명목금리 명목금리에 대한 심층 해설1. 명목금리의 개념**명목금리(Nominal Interest Rate)**란 ‘표면적으로 표시된 금리’로서,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의 금리를 의미한다.즉, 은행 예금이나 대출, 채권 등 금융상품에서 계약 시 명시되는 명목상 이자율이 바로 명목금리이다.예를 들어, 한 은행이 1년 만기 정기예금에 연 4%의 이자를 준다고 했을 때, 이 4%가 명목금리이다.하지만 같은 기간 동안 물가가 3% 상승했다면, 실질적으로 얻는 구매력 증가는 1%에 불과하다.이때 실제 이익을 나타내는 금리가 바로 ‘실질금리(Real Interest Rate)’이다.이 관계는 경제학의 기본 공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예를 들어,명목금리 4%, 물가상승률 3.. 2025. 10. 3.
[경제용어] 가산금리 가산금리에 대한 심층 분석1. 가산금리의 개념**가산금리(加算金利, Spread Rate)**란 금융기관이 대출이나 금융상품의 최종 금리를 산정할 때, 기준금리에 일정 비율(혹은 수치)을 더해 부과하는 금리를 말한다.즉, 기준금리(Base Rate)에 **가산금리(Spread)**를 더하여 최종적으로 적용되는 금리를 결정한다.공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최종금리(적용금리) = 기준금리 + 가산금리예를 들어,한국은행 기준금리가 3.5%이고 은행이 고객의 신용위험, 운영비용, 목표이익 등을 반영해 가산금리 1.2%를 부과한다면,해당 고객의 최종 대출금리는 4.7%가 된다.가산금리는 단순한 ‘추가 요율’이 아니라, 금융기관의 위험관리 및 수익구조의 핵심 메커니즘이다.기준금리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방향을 반영.. 2025. 10. 3.
[경제용어] 고정금리 1. 고정금리의 개념**고정금리(Fixed Interest Rate)**란 대출이나 예금, 채권 등 금융거래에서 약정된 기간 동안 금리가 변하지 않는 형태의 금리를 말한다. 즉, 계약 당시 정한 이자율이 만기 시까지 동일하게 유지되는 구조이다.예를 들어, 5년 만기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시장금리가 변하더라도 5년 동안 동일한 금리로 이자를 납부하게 된다.이와 대비되는 개념은 변동금리(Variable Rate) 또는 **시장금리 연동형 금리(Floating Rate)**로, 이는 기준금리나 금융시장 상황에 따라 일정 주기로 금리가 변동된다.고정금리는 이러한 변동성으로부터 차입자나 투자자를 보호하며, **예측 가능성(Predictability)**과 **안정성(Stability)**을 중시하는 이들.. 2025.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