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4

6개월 발달정보 요약 ※ 6개월 대근육: 독립 앉기 전구(손 짚고 삼각앉기), 양방향 뒤집기. 소근육: 바나나 그립으로 블록 잡기, 물건 쥐었다 놓기 시도. 인지: 떨어뜨린 물건 내려다봄(원인–결과 재미). 언어: 자음 등장 “바바/마마(비의미)”. 사회·정서: 낯가림 시작 가능, 돌보미에게 안기 선호. 적응: 이유식 시작(국가 가이드라인 참고). 놀이: 컵·그릇 두드리기, 서로 주고받기 놀이, 간단한 손발동요. 2025. 9. 3.
5개월 발달정보 요약 ※ 5개월 대근육: 옆으로 뒤집기 흔함(누↔엎). 소근육: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탐색, 물건 입으로 충분히 탐색. 인지: 사물 영속성의 전구(부분 가리면 찾는 모습). 언어: 모음 위주 옹알이 증대. 사회·정서: 표정 풍부, 웃음·까르르. 적응: 보조의자에서 잠깐 보조해 앉기 시도. 놀이: 천으로 숨바꼭질, 바스락 소리/촉감책. 2025. 9. 3.
4개월 발달정보 요약 ※ 4개월 대근육: 엎드려 팔꿈치 펴고 상체 들기; 뒤집기(엎→누) 전구. 소근육: 장난감 흔들기, 손에서 손으로 옮기기 시작. 인지: 원인–결과 초보 인식(흔들면 소리). 언어: 웃음소리, “끼/끼” 고음, 소리 모방 시작. 사회·정서: 낯가림의 전구(응시 시간 변화). 적응: 수유 간격 늘어남. 놀이: 딸랑이, 트미타임 길게, 발차기 매트. 2025. 9. 3.
3개월 발달정보 요약 ※ 3개월 대근육: 엎드려 팔로 상체 지탱, 머리 가누기 안정↑. 소근육: 손에 쥐어주면 1–2초 잡음, 두 손 모아 바라봄. 인지: 움직이는 장난감 추적 180° 근접. 언어: 쿠잉 다양해짐, 미소와 소리 상호작용. 사회·정서: 사람에게 먼저 미소, 돌봄자 구분 시도. 적응: 깨어있는 시간 증가, 낮잠 패턴 생김. 놀이: 거울 보기, 손·발 노래, 다양한 촉감 천 만지기. 2025. 9. 3.
2개월 발달정보 요약 ※ 2개월 대근육: 엎드려 머리 45° 정도 듦. 누운 자세에서 팔다리 대칭적 움직임. 소근육: 손 펴지는 시간이 늘고, 손을 바라봄(핸드가징). 인지: 소리 방향으로 잠깐 고개 돌림. 언어: “아—”, “우—” 같은 쿠잉 시작. 사회·정서: 미소 증가(사회적 미소의 전구). 적응: 수면 주기 조금 안정. 놀이: 얼굴 모방(혀 내밀기), 딸랑이 소리 들려주기, 트미타임(짧게 자주). 2025. 9. 3.
0-1개월 발달정보 요약 ※ 0-1개월 대근육: 엎드리면 잠깐 머리 살짝 듦·고개 흔들림. 놀라 반사(모로), 빨기·잡기 반사 뚜렷. 소근육: 손을 꽉 쥠(원시반사). 얼굴 가까이의 물체에 잠깐 초점. 인지: 강한 대비(검정/흰색)에 주의. 20–30cm 거리 얼굴 선호. 언어: 울음이 주요 의사소통. 깨어 있을 때 짧은 옹알이 전구 단계. 사회·정서: 사람 얼굴/목소리에 반응, 잠깐 눈맞춤. 적응: 수면–수유–배설 리듬 형성 중. 놀이: 하이터치 스킨십, 고대비 카드 20cm, 부드러운 자장가. 2025. 9. 3.